서울시, 7월부터 ‘친절한 수도요금 청구서’ 도입…큰 글씨·친환경 용지 적용

채성군 기자

등록 2025-07-03 11:30

서울시는 7월 말부터 수도요금 종이 청구서의 글자 크기와 용어를 개선하고, 크기를 축소해 친환경 재생용지로 전면 교체하는 ‘친절한 청구서’ 체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오는 7월 말부터 발송하는 수도요금 종이 청구서를 대폭 개선해 시민들의 가독성과 이용 편의를 높이기로 했다. 

서울시는 오는 7월 말부터 발송하는 수도요금 종이 청구서를 대폭 개선해 시민들의 가독성과 이용 편의를 높이기로 했다. 납부금액, 납부기한, 고객번호 등 핵심 정보는 글자 크기를 키워 강조하고, ‘수용가’나 ‘수용가번호’처럼 생소한 용어는 ‘수도사용자’와 ‘점검번호’로 쉽게 바꿨다. 서울시는 이번 개편을 통해 시민이 청구서를 보다 빠르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간 1,200만 장이 발송되는 수도요금 청구서의 물리적 형태도 간소화된다. 기존 4단(21×35.5㎝)에서 3단(21×28㎝)으로 줄여 종이 낭비를 최소화하고, 전면에 친환경 재생용지를 도입해 환경 부담을 줄인다. 시에 따르면 이 같은 개선으로 연간 약 5,800만 원의 인쇄 및 발송 비용과 약 2,200만 원의 용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연간 14.3톤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청구서 하단에 삽입되던 OCR(광학 문자인식) 밴드도 폐지된다. OCR 밴드는 기계가 요금 정보를 자동 인식하는 장치지만, 실제 사용률이 3.7%에 그치고 청구서 공간을 많이 차지해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서울시는 전자납부 방식으로 전환해 공간을 절약하고, 이중납부 같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했다.


전자납부 방식 전환에 따라 고객 전용 입금계좌, QR코드, 전자납부번호 등 다양한 납부 수단도 함께 제공된다. 기존 OCR 방식에 익숙한 시민들도 새로운 전자 방식으로 불편 없이 납부가 가능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이번 수도요금 청구서 개편은 시민의 생활 속 불편을 줄이면서 동시에 친환경적인 행정 서비스를 실현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채성군

채성군

기자

서울시 “7~8월 전기화재 최다…냉방기기 사용 각별히 주의해야”

서울시가 본격적인 폭염과 열대야를 앞두고, 여름철 전기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최근 5년간 통계에서 7~8월에 발생한 전기적 요인 화재 비중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에어컨 화재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서울 지역에서 발생한 전기적 요인 화재 총 7,036건을 분석한 결과,

뉴스위드
발행인채성군
편집인채성군
연락처010)3624-7970
이메일spl7970@naver.com
주소 전남 나주시 그린로335 303호
뉴스위드

뉴스위드 © 뉴스위드 All rights reserved.

뉴스위드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